SHA 해시는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 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파일 무결성 검증과 관련하여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그래서 오늘 다룰 것은 SHA Checksum Checksum 은 네트워크에서도 사용 되는 개념이다.코드나 파일을 전송할 때 마지막에 Checksum 이라 불리는 것을 전송하고 받은 곳에서도 마찬가지로 파일의 Checksum 을 계산하여 그 둘을 비교하여 그 코드나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할 때 쓰인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SHA Checksum은 파일의 SHA 해시 값을 비교하여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한다.위 사진과 같이 파일 옆에 checksum 이 주어지고 사용자는 다운받은 파일은 SHA 해시값과 주어진 체크섬을 비교할 수 있다. -FCIV(File Checksum Integrity Verifi..
특정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를 읽어 실행하거나, 수정되는 것도 가능한 장치.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ROM 이나 PROM 에 저장됨. 과거 펌웨어 업데이트는 펌웨어가 담겨있는 ROM 교체-> 플래시 메모리를 통해 물리적 교체가 아니라 업데이트 할수 있게 됨. -구성 요소 부트로더 (boot loader) 운영체제가 시동되기 이전에 실행되면서 운영체제를 시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커널 (Kernel)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기초수준의 제어권 제공. 응용소프트웨어를 컴퓨터 하드웨어에 연결 파일 시스템 (File System) 컴퓨터가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 하기 위한 시스템 그 외 (Others) 그 외의 프로그램 -부트 로더 부팅(booting) : 부트스트랩. ..
>이전 포스팅을 보고 싶다면? 어플리케이션 리버싱) 동적분석과 정적분석 어플리케이션 리버싱)동적 분석 환경설정 어플리케이션 리버싱 시리즈의 세번째는 APK이다. 정적분석을 위해서는 먼제 APK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APK(Android applicataion packeage)?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 패키지. 안드로이드 OS 의 모바일 기기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에 사용되는 패키지 파일로 zip파일 기반의 압축파일.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압축프로그램으로 바로 압축을 해제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고 .apk를 .zip으로 바꿔도 무관하다. -구성 1) META-INF 2) res 3) AndroidManifest.xml APK의 압축을 풀어보면 다음과 같이 총 두개의 디렉토리와 하나의 xml 파일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DataBinding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 뷰모델
- pwnable.kr
- 포너블.kr
- NumberFormatException
- 스프링부트
- 정보보안
- 자바
- 리버싱기초
- 리버싱.kr
- Android
- 모바일리버싱
- 동적분석
- 웹 MVC
- Spring
- 앱분석
- Java
- CTF
- 에러
- reversing.kr
- MVVM
- 안드로이드
- reversing.kr풀이
- androidstudio
- writeup
- 칼리리눅스
- 펌웨어 분석
- exception
- Android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